목록전체 글 (189)
wintertreey 님의 블로그
RENAME테이블 이름 변경RENAME TABLE table1 TO table2; 자세한 설명은 하단에 첨부한 글을 참고.JOINhttps://opentutorials.org/course/3161/19545 DATABASE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 LEFT JOINSELECT D.product_id, -- 상품 ID D.product_name, -- 상품 이름 D.product_type, -- 상품 타입 P.user_id -- 해당 유저가 상품을 보유/권한 있는지FROM PRODUCT DLEFT JOIN PRODUCT_USER P ON P.product_id = D.product_id AND P.user_id = '13'; 실행 결과 product_id..
1:N 관계를 객체 구조로 매핑할 때 사용된다. Service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할 때 Map 안에 List의 구조를 이중으로 넣을 수도 있지만, 의 개념을 사용하면 mybatis xml 에서 쿼리상으로 한 번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이런 식으로 출력한다는 것.{ "user_id": 1, "user_name": "홍길동", "order_list": [ { "order_id": 101, "product": "노트북" }, { "order_id": 102, "product": "키보드" } ]} 이게 mybatis에서 쓰일 때의 모습이다. SELECT U.user_idx, U.user_name FROM USERS U SELECT O.order_id, ..

http://www.kocw.net/home/cview.do?lid=b629d6727d097418 롤의 정리 Rolle's theorem 롤의 정리를 일반화한 것이 평균값 정리 mean value theorem 1. 접선의 방정식 x^{2} + y^{2} = 1 미분하면 2x+ 2y*y' = 0 y = m((x-a)) + bm : 기울기 ((a, b)) : 지나는점 y = x ((x>=0)) x^{2} ((x해당 함수의 경우는 연속함수이긴 하다.그러나 좌 미분계수 =\= 우 미분계수 이므로 접선이 아임.
https://opentutorials.org/course/3161/19541 UPDATE TABLENAMESET COL1='..', COL2='...'WHERE ID=''; WHERE 조건에는 되도록이면 PK로 하기. 속도 향상을 위해. DB상에서 UPDATE를 할 때는 무조건 작업 전 백업을 해두고 해야한다. ((프로그래밍 상이면 괜찮음!))

http://www.kocw.net/home/cview.do?lid=065540eb588937d2 AI를 위한 기초수학이 강좌에서는 대학에서 다루는 미분적분학 관련 교과목을 전공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수학적 지식과 그 응용에 대해 알아본다. 특히 AI수학, 미분적분학과벡터해석(1), 미분적분학과벡터해석(www.kocw.net

http://www.kocw.net/home/cview.do?lid=a873e83b5fa99d33 AI를 위한 기초수학이 강좌에서는 대학에서 다루는 미분적분학 관련 교과목을 전공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수학적 지식과 그 응용에 대해 알아본다. 특히 AI수학, 미분적분학과벡터해석(1), 미분적분학과벡터해석(www.kocw.net 1. 미분법 기본 공식 미분 가능한 두 함수 f((x)), g((x))에 대해서 다음이 성립한다. 예제 4-5a. f'((x)) = 2020x^{2019} + 9x^{2}b. g'((x)) = $ \frac{1}{(x+1)^{2}} $ 2. 삼각함수의 도함수덧셈정리 예제 4-6(4루트3 - 루트7) / 12 삼각함수의 극한 삼각함수의 도함수 예제 4-7a. 2/3 b. 1 예제 ..
https://opentutorials.org/course/3161/19540 SELECT COL1, COL2.. FROM TABLENAME; FROM 이 없는 경우SELECT 1; → 결과는 1SELECT 'HELLO'; → 결과는 HELLOSELECT NOW(); → 현재 시간SELECT 2+3; → 5즉, FROM 절이 없으면 DB는 테이블 조회가 아니라 표현식 계산을 하고, 그 결과를 출력 LIMIT 3; 맨 뒤에 이렇게 붙이면 나오는 데이터 들 중 3개만 출력. ORDER BY 시 유의사항PK, CREATED 모두 데이터가 생성되면서 계속 값이 증가하므로 둘 중 아무거나 해도 해당 데이터를 특정짓기 쉽다.그러나 PK의 경우 인덱스 테이블이 생성된다.따라서 PK로 조건을 주어 데이터를 검색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