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tertreey 님의 블로그
rsync, 샤딩, ; && 본문
https://opentutorials.org/course/2598/14508
# rsync
원격 동기화 작업할때 쓰임.
보통 이중화 백업할때 잘 쓰인다.
1. Master - Slave 관계
mysql을 예시로 관계를 살펴보자.
master가 메인. insert, update, delete 구문을 통해 데이터의 변동이 생긴다.
slave에는 select구문을 통해 데이터 읽기만 수행한다.
insert, update, delete의 경우에는 부하가 심하고, select 의 경우에는 자주 변화가 일어난다.
2. 동등 관계
서버가 동등관계로 이뤄지고, 3rd party라는 master, slave 관계에는 없던 것이 중간 과정에 추가된다.
서드 파티는 부하를 분산시켜주고, 한 서버가 죽으면 다른 서버로 보내준다. 무중단 서비스가 가능해짐.
# DB 샤딩
- 수평샤딩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
예를 들어, 회원 테이블의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함.
- 수직샤딩
칼럼을 분리하여 저장.
한쪽에는 회원의 이름과 핸드폰번호를, 다른쪽에는 회원의 주소, 성별, 나이, 이메일을 저장.
# ; 과 &&
https://opentutorials.org/course/2598/15818
1. ;
func1; func2;
func1의 TF여부 와 무관하게 다음 명령문인 func2를 실행.
2. &&
bool a1 = func 1;
bool a2 = func 2;
if(a1 && a2)
정의하면서 확인(실행)이 된다.
물론 a1이 F이면 그 뒤 조건인 a2를 거치지 않겠지만,
앞 부분에 정의할때 거치긴 했다.
func1 && func2;
이 경우에는 앞 케이스와 비슷하지만 다르다.
func1 이 F 일경우, 아예 func2를 거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