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tertreey 님의 블로그

RSA 암호화 본문

CS

RSA 암호화

wintertreey 2025. 7. 24. 16:56

 

https://www.youtube.com/watch?v=MR4sCU82tgo&t=4s

대칭키 암호화 방식은 해커들에게 쉽게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등장한게 RSA 비대칭키((공개키)) 암호화 방식이다.

 

RSA 공개키 암호화 방식은 메시지를 암호화할 때 사용되는 공개키, 암호화된 메시지를 복호화하기 위한 개인키가 존재. 두 키는 한쌍으로 생성되어 관리됨.

서버 Server --- 웹 사이트 Web Site

1. 사이트에서 코모도, 구글 등 인증서 발급해주는 사이트에 물어본다. 이 사이트의 인증서 너네가 발급해준거로 되어있는데 맞아? 라고 확인하는 것.

2. 그러면 인증서 발급 사이트에서 응답이 온다. 맞다. 

3. 그러면 해당 사이트는 사용자가 기입한 정보, 예를 들어 이름, 핸드폰번호를 모두가 가지고 있는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메시지를 전달한다. 크래커가 암호화된 메시지를 얻는다 해도 복호화할 키 즉 private key 가 없기때문에 복호화가 어렵다.

 

서버와 웹사이트 사이에서는 보통 서버는 데이터를 받기만 하고, 웹사이트는 보내기만 하는 입장이기에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개인키는 서버만 소유하고 있으면 된다.

 

그러나 첨부한 사진처럼 은행 -- 개인 간의 관계에선 보통 개인의 개인키(( 보통 공인인증서 라고 불리며 다들 계좌이체 및 본인인증을 위해 대한민국 현대사회에선 하나씩은 가지고 있다))를 개인뿐만 아니라 은행도 소유하고 있다. 

 

 

 

# 양자 컴퓨터의 등장과 양자 내성 암호

비밀키는 소수 두 개, 공개키는 해당 두 소수의 곱이며 

암호화 알고리즘은 수학에서의 난제 개념을 통해 만들어진 알고리즘이다. 

 

 

 

#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 확인 방법

 


https://aday7.tistory.com/entry/Java-RSA-%EA%B3%B5%EA%B0%9C%ED%82%A4-%EC%95%94%ED%98%B8%ED%99%94%EB%B3%B5%ED%98%B8%ED%99%94-%EC%98%88%EC%8B%9C-RSA-%EB%B9%84%EB%8C%80%EC%B9%AD%ED%82%A4-%EC%95%94%ED%98%B8%ED%99%94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HTTPS 보안정책  (1) 2025.07.11
보수, signed unsigned  (1) 2025.06.13
IP, Domain, DNS  (0)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