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 ;. grep. pipeline
https://opentutorials.org/course/2598/14190
왜 CLI인가? - 생활코딩
수업소개 왜 배우기 어려운 명령어(CLI)를 사용하는 것일까요? 여기서는 명령어를 사용하는 이유를 살펴봅니다. 강의 GUI VS CLI 순차적으로 실행 파이프라인
opentutorials.org
CLI 를 사용하는 이유
1. GUI가 불가능한 환경의 서버
2. GUI는 메모리 차지를 많이 하기 때문
명령문1;명령문2
여러개의 명령문을 한 줄로 적을 경우, ;(세미콜론)을 사용한다.
cat
해당 파일의 내용을 보여줌
전체 시스템에서 실행하는 프로세스 정보를 보고자할때
ps -ef : 부모, 자식 프로세스 관계를 볼때 유용
ps aux : 모든 user의 프로세스 상태 보여줌.
grep keyword filename
해당 이름의 파일안에서, keyword가 포함된 행만 출력
ps -ef | grep apache
| pipeline
합성함수의 개념과 흡사하다.
ps -ef로 출력된 내용에서 apache라는 키워드를 찾아 포함된 행만 출력
https://unipro.tistory.com/238
'ps aux'와 'ps -ef'의 차이
ps -e와 ps ax를 모든 프로세스를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같다. ps -f와 ps u는 보여주는 필드를 정하는데 아래와 같은 소소한 차이가 있다. ps -f 프로세스의 식별 정보를 더 잘 보여준다. PPID : 부모 PID p
unipro.tistory.com
https://cherry-forest.tistory.com/6
ps -ef | grep, ps -aux | grep 차이
1. ps(Process Status)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목록과 상태를 보여준다. ps 옵션은 OS 계열에 따라 다르게 사용한다. System V 계열에서는 -를 사용하고 BSD 계열을 -를 사용하지 않는다. System V 계열 ps -ef |
cherry-fores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