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tertreey 님의 블로그
Spring Boot 환경설정 본문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자바 기반의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강력한 도구로써, 다양한 기능과 라이브러리를 제공하여 개발자가 보다 쉽게 엔터프라이즈 레벨의 프로젝트를 개발할 수 있다.
스프링 부트는 스프링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더 빠르고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 개발 프로젝트의 기본적인 설정을 자동으로 해주며, 내장 서버를 통해 별도의 서버 설정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기능들은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더 빠르게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스프링 부트는 스프링의 설정을 자동화하고,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해주며, 애플리케이션의 빠른 프로토타이핑과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스프링부트의 자동설정 + mvc 패턴의 역할 분리로 인한 개발 유지보수의 용이성
=> 웹개발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켜준다.
스프링 부트를 시작하고자 프로젝트를 생성하고자 한다.
프로젝트 생성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1. 웹사이트상에서 설정하여 파일을 다운받는다.
해당 링크에 접속하여 원하는대로 설정을 해준다.
Generate 누르면 파일이 자동으로 다운로드된다.
이클립스에서
Help > Eclipse Marketplace
여기서 tool 4를 다운받는다.
대부분 기본체크되어있는대로 해주고 넘어가준다.
다운받은 파일을 import 해주자.
File > Import
Maven project 이므로 maven 에서 임포트해야한다.
이런 루트로 최종적으로 이클립스에 해당 프로젝트(sprweb1)이 생성된다.
resource 패키지 > static 폴더에 start.html파일을 하나 만들어주었다.
그리고 이를 실행시켜보고자한다.
해당 프로젝트에서 혹은 java 패키지에 Sprweb1Application.java(이게 일종의 출력용 메인.java)에서 run as 를 수행한다.
이 때 Spring Boot App을 실행하고, 콘솔에 찍히는 url정보를 주소창에 입력하면 웹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1번방법을 꼭 추천하지는 않는다. 애초에 그러면 매번 웹사이트에 접속해 설정해서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또 import작업을 거쳐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좀 더 간단한 방법으로 또다른 프로젝트를 생성해보자.
2.
File > New > Other
이클립스 내에서 바로 웹사이트에 접속해 설정한 것을 처리할 수 있다.
바로 프로젝트 (sprweb2)가 생성된다.
이번엔 index.html파일을 만들고 출력해보았다.
콘솔에서 서버가 돌아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콘솔에서 많은 정보를 볼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포트번호 8080이다.
https://cafe.daum.net/flowlife/HrhB/70
https://f-lab.kr/insight/understanding-spring-boot-and-mvc
'백엔드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연동 2/4_ JdbcDaoSupport (1) | 2024.07.14 |
---|---|
DB 연동1/4_ 클래스내에서 직접 sql문 적기 (0) | 2024.07.14 |
AOP란? Proxy란? (0) | 2024.07.08 |
@Qualifier, @Resource, @Value (0) | 2024.07.07 |
@Scope, @Autowired @Resoruce, @PreConstruct @PreDestroy (0) | 2024.07.07 |